한과(韓菓)
1 개요 ¶
유사 이래 문명의 발달과정을 보면, 일단 먹을 것이 안정되면 입을 것을 찾고, 입을 것이 안정되면 살 집을 찾기 마련이다. 특히 과자류는 달콤한 것을 좋아하는 인간의 특성상[1] 쌀이나 밀같이 주식을 만드는 재료와 여러 가지 재료를 이용해서 과자를 만들어 먹게 되었다. 사회학적으로도 과자를 만든다는 것은 아직도 그날그날 먹을거리를 찾는데 여념 없는 다른 이들과 달리 자신은 남아도는 밥으로 과자도 만들어 먹는다는 분명한 계급적 메시지가 담겨 있다고 볼 수 있다. 애초에 과자는 안 먹어도 죽지는 않는 사치재니까.
그 때문에 한과는 한국 요리에서도 최고급 음식으로 여겨져 제사나 명절음식으로 귀한 대접을 받았다.[2] 그것도 그럴 것이 어떤 종류의 과자를 만들든 떡을 치는 것 이상으로 쌀이 많이 필요하고[3] 기타 잡곡과 견과류, 과일, 꿀, 기름이 들어가기 때문에 왕족들조차도 명절이나 제삿날에나 마음 놓고 먹을 수 있었다고 한다. 물론 임금님은 매일 드셨다. 수라상 후식으로 항상 떡과 과자를 올렸기 때문. 하지만 가뭄이 들거나 홍수가 들어 그 해 작황이 좋지 않으면 술과 함께 제일 먼저 제조금지 목록에 올랐다. 그만큼 쌀을 많이 잡아먹기 때문에...
흔히 한과는 튀기고, 지지고, 졸이는 3가지 요리법으로 구분된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는 현대식 과자에서도 짭짤한 스낵(칩, xx깡 종류)이 훨씬 더 인기있고 대중적인 편이다.
몇몇 사람들은 외국인에게 김치 대신 한과를 준다면 한국에 대한 인식이 더 좋을것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2.1 다식(茶食) ¶
밤가루, 송홧가루, 콩가루, 녹말가루, 참깨가루 또는 볶아서 말린 멥쌀가루 등을 꿀에 반죽하여 무늬가 새겨진 다식판에 박아 만든 것. 신라시대와 고려시대에 널리 성행했던 차(茶) 문화와 함께 생겨난 한과이다.
2.2 유과(油果) ¶
손가락 강정/꿩과자라고도 불린다.
멥쌀과 술로 찰떡을 쳐서 빚은 것을 한입 크기로 만들고 여러 날 동안 꼬박 말린 다음, 기름을 튀기고 그 위에 조청을 입히고 겉을 깨 등의 견과류나 고물, 쌀튀밥 등에 굴려 마무리한 과자. 유탕처리한 현대의 스낵 종류와 비슷한 원리의 과자로 튀기면서 부피가 늘어난다. 최근 대량생산되는 것은 겉에 묻히는 고물이 대부분이 쌀튀밥으로 고정. 위에 설명하다시피 레시피가 복잡한데다가 어렵고, 한과 중에서도 제일 많이 쌀을 잡아먹기 때문에 유밀과 다음으로 최상급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대량생산이 가능해진 지금은 제일 싼 한과가 되었다.

2.2.1 유밀과(油蜜果) ¶
유밀과는 밀가루와 술, 꿀, 참기름으로 반죽한 것에 무늬를 찍고 기름에 튀겨 집청한 것(조청에 담근 것)으로 흔히 생각할 수 있는 것으로 약과가 대표적이다. 요즘 볼 수 있는 공장제 약과에선 볼 수 없지만 제대로 만든 것, 특히 개성의 약과는 서양의 페이스트리처럼 반죽에 층이 생긴다. 맛이나 질감도 확연히 다르다. 다식처럼 무늬를 찍어서 만들기 때문에 다른 말로 다식과(茶食果)라고도 부르고 모양이나 세부적인 재료에 따라 매작과, 만두과 등의 종류도 있다. 옛날에는 약과를 '과줄'이라고 불렀다.
옛 기록에는 심심하면 "유밀과의 제조를 금한다"고 나온다. 쌀도 귀하던 시대에, 이 한과의 재료는 당시 쌀 이상으로 귀하던 밀가루에 기름과 꿀 또는 조청[5]을 섞어 반죽하여 말린 뒤 기름에 튀겨 다시 조청에 절여내는 과자였기 때문. 앞에서 나온 유과와 비교할 때 재료의 비용과 더불어 감미료와 기름의 소모량이 상당한 고급 과자였다.
유과는 겉에 조청을 묻히는 정도지만 유밀과는 최대한 과자 사이사이에 조청이 스며들도록 절여낸다.[6] 위에서 언급한 페이스트리와 같은 결이 생기는 개성약과의 경우, 결 사이사이에 조청이 스며들어 한입 베어 물면 조청이 결 사이에서 배어 나오는 경지에까지 이른다. 그야말로 꿀과자. '다식과'라고도 불렸듯이 모양을 찍기 위한 이 한과만의 별도의 도구가 필요한 점도, 당시 귀한 과자로 몸값을 올리는 원인이 되었다. 춘향전에서 암행어사가 출두할 때 변사또는 한 손에 이것을 들고 깨작거리고 있었다. 일개 고을 사또가 사사로운 잔치를 열어 약과를 먹는다는 것은 그야말로 어마어마한 사치였다. 하지만 유밀과도 밀가루와 유지, 감미료의 비용이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가치가 하락한데다가 틀에 찍어내어 튀긴다는 대량생산에 적합한 공정까지 더해져서, 오늘날에는 가장 흔한 한과 중 하나가 되었다. 하지만 수제 고급한과의 영역으로 넘어가면 유과와는 달리 아직도 가장 비싼 종류의 한과이다.[7]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