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端午. 한국의 명절 중 하나. 한국 3대 명절인 설날, 추석에 이은 명절이며 매년 음력 5월 5일을 기준으로 한다. 수릿날, 천중절(天中節), 오월절(五月節)이라고도 부르지만 일반에서는 흔히 단오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한국 이외에도 중국과 일본에서도 같은 날에 단오를 보낸다.[1]
단오의 기원은 고대 중국에서 재액(災厄)을 예방하고 풍요와 안정을 기원한다는 뜻에서 유래되었던 것으로 알려졌으며 비가 잦은 계절인 5월이 병마(病魔)가 기승하는 시기임을 이용하여 악귀와 병마를 쫓는 풍습을 통해서 생겨난 것으로 추정된다.
단오에는 주로 향(香)이 강하고 짙은 창포, 쑥잎, 약초 등을 통해서 악귀와 병마의 강림을 방지하는 풍습을 갖게 되며 이 영향으로 쑥으로 만든 쑥떡을 먹거나 창포잎으로 담은 물에 머리를 감는 풍습이 생겼다. 당시에는 문 앞에 쑥잎으로 만든 인형이나 호랑이 등을 문에 걸어놓은 적도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2 한국에서의 단오 ¶
한국에서는 농경의 풍작과 풍요를 기원하는데서 유래하여 유풍으로 보고 있었고 여자들은 창포잎으로 담은 물에 머리를 감으며 재액(災厄)을 방지하는 풍습을 가졌으며 남자들은 허리춤에 창포뿌리를 착용하며 재액을 방지하는 풍습을 가졌다.
단오가 되면 남자들은 씨름을 통해서 자신의 힘 자랑과 실력을 자랑하기도 한다. 우승을 한 자는 황소를 부상(副賞)으로 받으며 천하장사라는 칭호도 얻는다. 또한 태껸을 하여 승부를 겨루기도 했다고 한다. 여자들은 창포물로 감은 머리를 단장하며 그네뛰기를 통해서 자신의 실력을 뽐내기도 한다. 여름철 명절인 단오의 풍습상 부채를 나눠주기도 하는데 소년 및 청년에게는 푸른빛의 부채를 주게 되고 노인이나 상주(喪主)에게는 하얀 부채를 주었다는 속설이 있다.
단오에는 재액을 방지하고 풍요를 기원하면서 쑥떡, 수리취떡, 망개떡, 약초떡, 밀가루지짐이 등을 먹는다.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단오관련 행사는 중요무형문화제 13호이자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인 강릉 단오제가 가장 유명하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