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란?
사전에서 찾아보면 “문화(文化)는 자연 상태에서 벗어나 일정한 목적 또는 생활 이상을 실현하고자 사회 구성원에 의하여 습득, 공유, 전달되는 행동 양식이나 생활양식의 과정 및 그 과정에서 이룩하여 낸 물질적, 정신적 소득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 의식주를 비롯하여 언어, 풍습, 종교, 학문, 예술, 제도 따위를 모두 포함한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더 좁혀 전통문화란 “한 민족에 의해 오랜 세월 지내면서 정착되어진 문화”를 얘기할 것입니다. 그 민족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할 생활상이나 유적, 결과물들을 통틀어 말하는 것이겠습니다.
한국 전통문화의 종류
크게 정신문화, 유형문화, 생활문화가 있을 것입니다.
정신문화(무형문화) : 각종 민속놀이, 명절과 24절기의 세시풍속,
효사상과 더불어 사는 삶, 한의학
유형문화 : 궁궐과 종묘, 수원화성, 절 등의 건축물, 고인돌유적 (고창,화순,강화),
훈민정음과 조선왕조실록, 해인사장경판전, 직지심체요절, 승정원 일기
생활문화 : 먹거리(된장, 김치, 전통차 등), 한복, 살림살이(한지, 황토집, 도자기, 옹기 등)
한국 전통문화를 잘 지켜야 하는 까닭
1. 전통문화는 우리 겨레의 뿌리를 말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뿌리를 잘 지킴으로써 우리 겨레를 영원히 살아가게 하는 끈이 될 수 있습니다.
2. 전통문화는 단순히 우리 것이어서 지키자는 것이 아닙니다.
건강과 풍요로운 삶, 더불어 사는 삶을 살기 위해서 아주 좋은 문화이기 때문입니다.
3. 우리나라는 자원도 부족한 작은 나라입니다.
따라서 정치, 경제, 군사, 외교 어느 것으로도
강대국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전통문화는 그 어떤 나라에도 당당하고 위대한 문화입니다.
그래서 현대 무한경쟁 시대에 우리 민족, 나라가 살아남기 위해서도
전통문화는 절대 지켜져야 합니다.
한류문화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류(韓流) 또는 코리언 웨이브(영어: Korean wave, Korean fever)는 대한민국의 대중 문화가 주로 아시아를 중심으로 외국에서 대중성을 가지게 되는 것을 말한다. 1997년 무렵부터, 문화 수출국을 목표로 하는 대한민국의 국책을 배경으로, 2000년 전후부터 대한민국 드라마가 아시아의 여러 나라들에서 방송되자, 대한민국의 배우나, 한국 문화 전반에 대한 인기가 높아지게 되었다. 이 현상이 중화민국(대만)의 언론등 에서는 한류 열풍(Korean wave fever) 이라고 하였다. 그 후 중화인민공화국이나 일본에서도 이 용어가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 이 말은 대한민국에도 역수입되어 신문이나 방송등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국내 정황 [편집]
한국 내부에서 한류 열풍은 국민적 자존심과 자국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높여주는 계기가 되었다.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영화, 드라마, 게임 산업 등의 활발한 수출은 더 이상 한류가 문화적 유행에 그치지 않고, 국가적 위상 전환의 기회로 삼아질 수 있음을 점차적으로 인식하게 되었고, 정부 차원에서 이를 지원하려는 정책적 노력이 뒷받침되기 시작했다. 노무현 정부는 12대 핵심 국정 과제 중 하나로 문화산업 강국의 실현을 내걸었으며, 헐리우드를 본 뜬 '한류우드'를 조성하려는 움직임이나 인천 송도 단지, 상암동 DMC(Digital Media City), 부산 센텀시티 등에 디지털 콘텐츠 산업 클러스터를 만들려는 계획도 이러한 정부 계획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한류는 1980년대 홍콩류, 1990년대 일본류에 이어 한국의 문화적 매력을 동아시아권 내에 발산하는 시대적 조류로 등장했지만 홍콩류와 일본류가 그러했듯 한류 역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그 영향력을 잃을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요즈음 국가 정책자들과 학자들의 고민거리로 떠올랐다.
국외 정황 [편집]
중화권 [편집]
일본 [편집]
한국과 일본 두 문화권의 교류는 오래전부터 있었으나 배우 배용준, 최지우 주연의 겨울연가가 2004년 일본 NHK에 방영되면서부터 본격화되었다. 여러 드라마와 음악계에서 한국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부터 한류 열풍이 불기 시작하였고 한국 문화는 단순히 드라마나 음악을 넘어서 온라인 게임, 음식 분야 등으로 일본에 진출한다. 그러나 한일(韓日) 양국 관계가 독도 영유권 분쟁, 일본의 교과서 왜곡, 역사 왜곡 등으로 냉각되는 시점마다 주춤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동남아시아 [편집]
- 싱가폴
- 태국
- 베트남
- 말레이시아
- 인도네시아
그 외의 나라 [편집]
- 미국
- 멕시코
관련항목 [편집]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 대한민국의 영화(en:Cinema of Korea)
- K-pop
- 한류스타 4대 천왕
- 천후
- 송승헌, 소지섭, 권상우, 현빈
- 브리티시 인베이전
- 우루과이 인베이전(en:Uruguayan Invasion)
- Y세대(en:Generation Y)
- 혐한류
- 화류
댓글 없음:
댓글 쓰기